반응형

각종 뉴스 및 인터넷에서 무슨 효과 ~ 무슨무슨 효과라고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오늘은 이런 효과와 관련된 용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효과이론 용어 몇가지

1. 터널효과 (tunnel Effect)

터널효과란 용어는 터널의 한 차선에서 사고나 기타 정체가 일어나면 초반에는 침착하게 기다려 보지만 점차 시간이 지나면 참지 못하고 하나 둘 씩 앞차를 추월해 지나치려고 하다 결구 반대편 차선 까지 모두 막혀 버린다는 의미의 용어로서 주로 경제용어로 사용된답니다

 

허쉬만(Hirschman A.O)가 주장한 효과이론으로서 경제정책에 있어서 성장과 분배 두가지 중 처음에는 당연히 성장위주의 정책을 펼치게되도 국민들은 분배에 크게 불만을 표출하지 않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소득 불평등의 갭이 커져 분배의 불만과갈등이 심화되는다는 효과로

 

 

 

 

쉽게 이야기하자면 분배를 무시하고 성장을 추구하면 결국 효율성 등의 문제로 성장을 저해하게 된다는 것으로 성장과 분배의 조화를 강조하는 용어임

 

 

2. 피셔효과(Fisher Effect)

피셔효과란 1920년대 미국의 경제학자 어빙 피셔가 주장하면 피셔효과로 명명되어 불려지며 시중금리와 인플레이션의 관계를 설명하는 용어로 인플레이션이 심해지면 금리 역시 따라서 올라간다 는 효과이론

 

 

 

3. 사일로 효과(Oranizational Silos Effect)

사일로 효과란 Organizational 용어처럼 조직 또는 부서간 발생하는 이기주를 뜻하는 용어로 곡식을 저장해 두는 창고인 싸일로(Silos)처럼 조직이나 사업 부서별로 업무적 경쟁을 떠나 서로 인간적으로 담을 쌓고 내부 부서의 이익만으 추구하게 되는 현상을 사일로 효과라고 함

 

 

 

4. 폭포효과(Waterfall Effect)

폭포효과란 폭포수처럼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물처럼 기업의 마케팅이 상류층의 소비자에게 먹혀든다면 자연스레 중산층 및 그 이하의 소비자에게 영향을 미치게 되어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는 효과이론으로서 우리나라에선 낙수효과와 비슷한 뜻으로 사용됨

 

 

 

 

5. 전시효과(Demonstrantion effect)

전시효과란 폭포효과(Waterfall Effect)를 뒷받침 해주는 효과이론이기도 한데 이유는 개인의 소비행동에 있어서 자신의 경제수준에 맞게 소비를 하게 되는게 아니라 남이 하니까 유행인까 등의 이유로 남의 소비해동을 따라하려는 성향을 말하며, 남이 비싼 것을 사면 자기도 비싼 것을 사게되는 것을 말함(시위효과라고도 함)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