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글 파일 작업 중에 갑자기 전원이 나가거나, “응답 없음” 상태에서 꺼진 적 있으세요?

“아, 저장 안 눌렀는데...” 하는 그 아찔함.(저는 오늘  한글은 아니지만 다른 프로그램이 저장이 안된 상태로 꺼졌어요 정말 ..... 할말하안)


저도 예전에 보고서 쓰다가 사무실 전기 이상으로 갑자기 시스템 꺼진 적이 있었거든요.

 

하지만 아래와 같이 bak파일로 살렸습니다.

 

저장은 했는데, 뭔가 이상해요... 백업 파일이 뭐죠?

“분명 저장은 눌렀는데, 뭔가 내용이 좀 빠져 있어...?”
“저장 직전에 멀쩡했는데, 지금 열어보니 파일이 깨졌어요!”

사실 저도 과거에 문서를 저장하자마자 컴퓨터가 강제 종료된 적이 있었어요.
그리고 다시 켰더니 저장은 됐는데 내용 일부가 날아간 상태더라고요.


이럴 때 마지막 희망이 되는 게 바로 백업 파일(.bak)입니다.

 

 

 

.bak 파일? 확장자가 이상해요

.bak 파일은 ‘백업(Backup)’의 줄임말이에요.


한글에서는 문서를 저장할 때, 이전 버전을 자동으로 백업 파일로 만들어 둡니다.

 

예를 들어 보고서.hwp를 저장했다면, 그 전 버전은 보고서.bak로 저장될 수 있어요.


이건 수동으로 만든 게 아니라 한글이 알아서 남겨둔 “이전 복사본”이에요.

 

그런데 이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안 열립니다.
왜냐면 .bak 확장자라서 한글 프로그램이 인식을 못 해요.

 

 

 

 

한글 백업 파일 열기 실전 가이드

이제부터 실예로 봅시다.


.bak 파일을 열어서 문서를 복원하는 방법 아주 간단하게 알려드릴게요.

 

✅ STEP 1. 파일 찾기

  • 보통 .bak 파일은 원본 파일과 같은 폴더에 있습니다.(내가 작업중인 한글파일 폴더에 있어요 그러니 원본은 원하는 폴더에 저장하시면 bak파일이 아래에 생겨요)
  • 예: C:\Documents\보고서.bak

 

 

✅ STEP 2. 확장자 바꾸기

  • 보고서.bak → 보고서(백업본).hwp 로 바꾸세요(해당파일 클릭 f2 맨뒤에 확장자 바꾸기 저장)
  • 바꾸려면 파일 확장자 표시를 켜야 합니다
  • 탐색기 상단 → 보기 → [파일 이름 확장자] 체크

 

 

✅ STEP 3. 한글로 열기

  • 변경한 파일을 한글로 실행하면 예전 버전이 그대로 뜰 수 있어요.
  • 저장 직전의 상태가 남아있을 수도 있고, 손상되지 않은 원본일 수도 있어요.(백업파일이라서 완벽하진 않습니다.)

제가 이걸로 복구해서 상사의 한시름 놓았던 적이 있죠... 열심히 일하다보면 3~4시간은 그냥 가는데 그시간을 날릴뻔했다가 다시 찾았으니 ... 진짜 하늘이 준 기회 같았어요.

 

 

 

 

백업 파일이 안 보일 때 대처법

혹시 .bak 파일이 보이지 않나요?
그렇다면 숨겨진 설정이 원인일 수 있어요.

✅ 숨김 파일 보기 설정 (Windows)

  • 탐색기 → 보기 → [숨김 항목] 체크

✅ 한글 백업 기능 활성화

다음부터는 자동으로 백업 파일이 생기게 하려면, 한글 설정에서 이렇게 하세요.

  1. 한글 실행 → [파일] → [환경 설정]
  2. 왼쪽 메뉴에서 [저장] 클릭
  3. “문서 백업 파일 만들기(.bak)” 체크
  4. 저장 주기도 함께 조정하면 완벽!

한글 백업파일 설정

 

 

백업 기능 이렇게 켜두면 더 안전해요

문서를 다 쓰고 나서 저장할 때, 이전 버전이 날아가는 거… 너무 아깝죠.


그래서 저는 .bak 기능을 기본으로 켜두고 사용하고 있어요.

 

그리고 중요한 문서 작업할 땐, 파일 이름 뒤에 날짜나 버전명을 붙이는 습관도 들였어요.

 

  • 보고서_최종.hwp → 보고서_v2_0331.hwp
  • 혹은, 주기적으로 복사해서 보관

백업은 절대 과한 게 아니에요. 딱 한 번의 실수를 구해주는 보험입니다.

 

 

백업 파일은 마지막 희망이자, 최고의 보험입니다

저장한 줄 알았던 문서, 잘못 덮어쓴 파일… 그 마지막 희망이 .bak 백업 파일이에요.

 

저도 여러 번 이 기능 덕을 봤기 때문에, 지금은 반드시 백업 기능을 켜두고 작업합니다.


혹시 아직 백업 기능을 모르고 계셨다면, 오늘 바로 설정 열고 체크해보시는 거 강력 추천드립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