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임시파일이 뭐냐고요? 파일의 마지막 흔적입니다

저장 안 한 문서 날아갔다고, 끝난 게 아닙니다.


바로, 임시파일이라는 녀석이 있기 때문이에요.

 

한글에서는 작업 도중 자동으로 임시 저장 파일을 생성해둡니다.

 

이건 일종의 그림자 같은 존재
우리가 저장을 누르지 않았더라도 프로그램이 백그라운드에서 저장 중이거든요.

그래서 한글이 뻗거나 컴퓨터가 갑자기 꺼져도, 어딘가엔 임시파일이 남아 있는 경우가 많아요.

임시파일 복구 폴더 위치

 

한글 임시파일 복구, 어디서 찾나요?

이 임시파일들은 보통 숨겨진 폴더 안쪽 깊숙한 곳에 있어요.
직접 찾기 위해선 경로를 알아야겠죠?

Windows 기준 임시파일 경로(아래 둘중 하나)

C:\Users\사용자이름\AppData\Local\Temp
C:\Users\사용자이름\AppData\Local\HNC\Hwp\Temp

 

주의!!!!

  • AppData는 숨김 폴더입니다.
  • 탐색기 → 보기 → [숨김 항목] 체크하셔야 보입니다!

여기 들어가면 정체불명의 .tmp, ~WRLxxxx.tmp, hwpXXXX.tmp 같은 파일들이 있을 거예요.
이게 바로 복구 대상입니다.

 

모르시면 이거 참고하셔요


윈도우10/11 파일 확장자 숨기기 해제 컴퓨터 초보자를 위한 상세 가이드

 

윈도우10/11 파일 확장자 숨기기 해제 컴퓨터 초보자를 위한 상세 가이드

컴퓨터 파일들이 모두 비슷해 보이나요?어떤 파일이 무엇인지 구분하기 어려우신가요?걱정 마십쇼 오늘은 윈도우10과 윈도우11에서 파일 확장자를 쉽게 볼 수 있는 방법을 상세히 알아 보죠 이

likedal.tistory.com

 


 

 

 

 

 

임시파일 복구 실전 가이드

이제 임시파일을 어떻게 복구해서 열 수 있는지 알려드릴게요.

 

STEP 1. 최신 tmp 파일 찾기

  • 파일 이름에 ~hwp 또는 .tmp가 포함된 것
  • 수정일자 최신, 크기 0이 아닌 것 우선!

 

 

STEP 2. 확장자 변경

  • 예: ~hwp1234.tmp → 복구된파일.hwp

파일 확장자 표시가 안 된다면?

  • 탐색기 → 보기 → [파일 확장명] 체크 필요!

 

 

 

STEP 3. 한글로 열기

  • 확장자를 바꾼 파일을 한글로 실행합니다
  • 열렸다면, 복구 성공! 

📌 내용이 일부 깨질 수도 있지만, 대부분 텍스트는 그대로 살아있을 가능성 높아요.

 

 

임시파일 복구, 제가 해봤습니다

사실 이 방법은 제가 블로그 초안 날렸을 때 직접 써먹은 거예요. 한글파일 저장 안 하고 편집만 하다가
강제 종료된 상황이었는데… 살려야 했거든요.

 

절박한 마음으로 Temp 폴더를 샅샅이 뒤졌고 다행히 20분 전 자동 저장된 .tmp 파일 하나를 찾았어요.

이름을 .hwp로 바꿔서 열었더니?
바로 그 초안, 복구 성공(속으로 나는 똑똑하다)

 

 

그래도 안 보인다면? 복구 프로그램 활용법

임시파일도 없고 자동 저장도 없고… 그런 경우 마지막 방법은 파일 복구 프로그램이에요.

추천 툴: Recuva (무료)

  • 삭제된 파일 복구에 특화
  • Temp 폴더나 특정 경로 지정해서 검색 가능
  • 한글 파일도 복구 시도 가능

하지만...

주의사항

  • 복구 성공률은 보장되지 않아요
  • 설치 후 바로 실행하지 않으면 덮어쓰기될 수 있습니다

 

 

그러니 복구 프로그램은 정말 최후의 수단으로 생각해주세요.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