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과일이 더 달콤한지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과일을 고를 때 가장 중요한 기준은 ‘맛’입니다.
특히 단맛이 강한 과일을 찾는 분들이 많은데 실제로 단맛을 숫자로 측정하는 기준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바로 ‘브릭스(Brix)’ 마트나 마켓컬리 같은데 과일에 13brix 등 표기된 것을 보시적 있으실거에요
-- “브릭스 수치가 높을수록 무조건 맛있는 걸까?”
-- “사과나 수박, 포도의 평균 브릭스 수치는 어느 정도일까?”
-- “당도 높은 과일을 직접 고르는 방법이 있을까?”
이번 글에서는 과일의 당도를 나타내는 ‘브릭스’가 무엇인지와 과연 브릭스가 높을수록 더 맛있는지
그리고 당도가 높은 과일을 고르는 방법까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브릭스(Brix)란? 과일 당도를 측정하는 기준
브릭스(Brix)란 과일이나 음료 속에 포함된 당의 농도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쉽게 말해 브릭스 수치가 높을수록 당 함량이 높고 더 단맛이 강하다는 의미죠.
💡 예를 들어
- 브릭스 12%인 오렌지 주스는 전체 용액 중 12%가 당분이라는 뜻입니다.
- 과일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브릭스 14%의 사과가 브릭스 10%의 사과보다 일반적으로 더 답니다.
하지만 브릭스 수치가 높다고 무조건 맛있는 것은 아닙니다. 단맛과 신맛의 조화가 중요한데요. 적절한 산도가 함께 어우러져야 더 맛있게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과일별 평균 브릭스 수치와 당도 비교
각 과일마다 평균적인 브릭스 수치가 다릅니다. 대표적인 과일들의 평균 브릭스 수치를 살펴볼까요?
과일 | 평균 브릭스 (Brix) | 고당도 기준 |
사과 | 12~15 | 15 이상 |
포도 | 16~20 | 18 이상 |
수박 | 9~11 | 11 이상 |
딸기 | 7~10 | 10 이상 |
망고 | 14~18 | 16 이상 |
배 | 10~13 | 13 이상 |
위의 표를 보면, 일반적으로 포도가 가장 높은 브릭스를 가지며 수박이나 딸기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입니다. 하지만 같은 과일이라도 품종과 재배 방법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브릭스 측정 방법, 가정에서도 가능할까?
브릭스를 측정하려면 ‘굴절당도계(리프랙토미터, Refractometer)’라는 도구가 필요합니다.
- 전문 매장에서 측정하는 방법: 과일을 착즙한 후 굴절당도계를 사용해 브릭스 수치를 확인합니다.
- 가정에서 확인하는 방법은 없지만 : 일반 소비자는 전문 장비 없이도 단맛이 강한 품종을 선택하거나 보관 상태에 따라 자연적으로 당도가 높아지는 방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당도 높은 과일 고르는 꿀팁!
1️⃣ 색이 진하고 선명한 과일 선택
사과, 포도 등은 색이 짙을수록 당도가 높습니다.
2️⃣ 무게가 묵직한 과일 고르기
같은 크기라면 무거운 과일이 더 당도가 높을 가능성이 큽니다.
3️⃣ 표면에 당도 맺힘 현상 체크
포도나 수박 겉에 하얀 가루(과당 결정)가 있으면 단맛이 강합니다.
4️⃣ 향이 진한 과일 선택
망고나 멜론처럼 향이 강한 과일일수록 브릭스 수치가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브릭스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과일은 천연 당분이 많아 건강한 단맛을 즐길 수 있는 식품이지만, 브릭스가 높다는 것은 당 함량이 높다는 뜻이므로 섭취량을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 당뇨병 환자는 주의
혈당 지수를 고려해 과일 섭취량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체중 관리 중이라면 저당도 과일 선택
사과, 배보다는 베리류(블루베리, 라즈베리)가 상대적으로 낮은 브릭스를 가집니다.
728x90
반응형